Cute Dog Bopping Head
본문 바로가기
Code IT/Algorithm

[프로그래머스] 튜플 (Python)

by 찾 2022. 8. 26.

<2019 KAKAO 개발자 겨울 인턴십>

 

문제 설명
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(a1, a2, a3, ..., an)
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
  1.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  2.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  3.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 중복되는 원소가 없는 튜플 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
  •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
  •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  •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  •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[제한사항]

  •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  •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•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  •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  •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  •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[입출력 예]
s result
"{{2},{2,1},{2,1,3},{2,1,3,4}}" [2, 1, 3, 4]
"{{1,2,3},{2,1},{1,2,4,3},{2}}" [2, 1, 3, 4]
"{{20,111},{111}}" [111, 20]
"{{123}}" [123]
"{{4,2,3},{3},{2,3,4,1},{2,3}}" [3, 2, 4, 1]

def solution(s):
    answer = []
    s_arr = []
    for str_ in s[1:-1].replace('},{','}+{').split("+"): # ['{1,2}', '{1,2,3}' ...]
        s_arr.append([int(x) for x in str_[1:-1].split(",")]) # [[1,2], [1,2,3] ...]
    s_dict = dict(sorted({len(x):x for x in s_arr}.items())) # { 2:[1,2], 3:[1,2,3] ...}
    answer = s_dict[1]
    for arr in s_dict.values():
        for x in arr:
            if x in answer:
                continue
            else:
                answer.append(x)
                break
        
    return answer

문제를 읽다가 진짜 난독이 와서... 초반 5분을 갈팡질팡했다

아니 왜 2134지? 1234도 될 수 있는 거 아냐 ..? 라고 생각하며 문제를 계속 읽었다 ㅋㅋㅋㅋㅋ ㅠ

하나만 있는 집합을 먼저 찾아서 맨 앞에 세우면 끝이라고 생각했고 아주 빠르게 15분만에 풀었다

 

효율성 채점이 있으면 어쩌나 싶었는데 없어서 다행이었고...ㅎㅎㅎ.... 

효율성 채점은 아직 너무 무섭단 말이에요

개발자로서 효율을 따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고 당연히 고려해야 할 일인데 말이죠 .,,,

실컷 푼 내 시간이 날아가는 게 속상해서 그래요... ....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