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ute Dog Bopping Head
본문 바로가기
Code IT/Algorithm

[프로그래머스] 두 큐 합 같게 만들기 (Python) - Deque

by 찾 2022. 8. 24.

<2022 KAKAO TECH INTERNSHIP>

 

문제 설명

길이가 같은 두 개의 큐가 주어집니다. 하나의 큐를 골라 원소를 추출(pop)하고, 추출된 원소를 다른 큐에 집어넣는(insert) 작업을 통해 각 큐의 원소 합이 같도록 만들려고 합니다. 이때 필요한 작업의 최소 횟수를 구하고자 합니다. 한 번의 pop과 한 번의 insert를 합쳐서 작업을 1회 수행한 것으로 간주합니다.

큐는 먼저 집어넣은 원소가 먼저 나오는 구조입니다. 이 문제에서는 큐를 배열로 표현하며, 원소가 배열 앞쪽에 있을수록 먼저 집어넣은 원소임을 의미합니다. 즉, pop을 하면 배열의 첫 번째 원소가 추출되며, insert를 하면 배열의 끝에 원소가 추가됩니다. 예를 들어 큐 [1, 2, 3, 4]가 주어졌을 때, pop을 하면 맨 앞에 있는 원소 1이 추출되어 [2, 3, 4]가 되며, 이어서 5를 insert하면 [2, 3, 4, 5]가 됩니다.

다음은 두 큐를 나타내는 예시입니다.

queue1 = [3, 2, 7, 2]
queue2 = [4, 6, 5, 1]

두 큐에 담긴 모든 원소의 합은 30입니다. 따라서, 각 큐의 합을 15로 만들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
  1. queue2의 4, 6, 5를 순서대로 추출하여 queue1에 추가한 뒤, queue1의 3, 2, 7, 2를 순서대로 추출하여 queue2에 추가합니다. 그 결과 queue1은 [4, 6, 5], queue2는 [1, 3, 2, 7, 2]가 되며, 각 큐의 원소 합은 15로 같습니다. 이 방법은 작업을 7번 수행합니다.
  2. queue1에서 3을 추출하여 queue2에 추가합니다. 그리고 queue2에서 4를 추출하여 queue1에 추가합니다. 그 결과 queue1은 [2, 7, 2, 4], queue2는 [6, 5, 1, 3]가 되며, 각 큐의 원소 합은 15로 같습니다. 이 방법은 작업을 2번만 수행하며, 이보다 적은 횟수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습니다.

따라서 각 큐의 원소 합을 같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작업의 최소 횟수는 2입니다.

길이가 같은 두 개의 큐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 queue1, queue2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각 큐의 원소 합을 같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작업의 최소 횟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단, 어떤 방법으로도 각 큐의 원소 합을 같게 만들 수 없는 경우, -1을 return 해주세요.


제한사항
  • 1 ≤ queue1의 길이 = queue2의 길이 ≤ 300,000
  • 1 ≤ queue1의 원소, queue2의 원소 ≤ 109
  • 주의: 언어에 따라 합 계산 과정 중 산술 오버플로우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long type 고려가 필요합니다.
입출력 예
queue1 queue2 result
[3, 2, 7, 2] [4, 6, 5, 1] 2
[1, 2, 1, 2] [1, 10, 1, 2] 7
[1, 1] [1, 5] -1

#list보다 훨씬 효율적인 deque를 사용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

def make_queue(q1, q2):
    count = 0
    sum1, sum2 = sum(q1),sum(q2)
    for i in range(300000): #while-break 사용 시 시간초과
        if sum1 == sum2:
            return count
        if sum1 > sum2:
            sum2 += q1[0] #iteration마다 sum 시 시간초과
            sum1 -= q1[0]
            q2.append(q1[0])
            q1.popleft()
            count+=1
        else:
            sum1 += q2[0]
            sum2 -= q2[0]
            q1.append(q2[0])
            q2.popleft()
            count+=1
    return -1    

def solution(queue1, queue2):
    q1 = deque(queue1)
    q2 = deque(queue2)
    answer = -1
    count = make_queue(q1, q2)
    if count < answer or answer == -1:
        answer = count
                    
    return answer

1. While로 진행하다가 특정 조건에 break를 걸게 되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시간초과가 날 수 밖에 없으므로,

for문으로 제한을 주어야 했다. 

이걸 못 찾았는데 ... 계속 진행하다가 결국 구글링으로 조금 힌트를 얻고 진행했음.

다른 풀이를 보니 len(queue1) * N을 하는 경우도 있던데 나는 최대 길이인 300000으로 설정했다

 

2. Deque 가 아닌 List를 사용하는 경우 시간초과.

Queue를 사용할 때에는 무조건 Deque를 사용해야 효율적이고, 단 stack처럼 구현 시에는 둘 다 같은 성능을 보인다.

계속 List로 하려다가 결국 이틀 걸렸습니다 ~~~ 코딩바보 나 ~~~~

deque.pop() - 맨 오른쪽(마지막)의 값 pop

deque.popleft() - 맨 왼쪽(처음)의 값 pop

deque.append() - 맨 오른쪽(마지막)에 append

deque.appendleft() - 맨 왼쪽(처음)에 append

 

3. Iteration을 돌 때마다 sum을 진행하는 경우 시간초과.

이건 알아내기 쉬웠다.. sum 횟수를 줄이려고 낑낑대다보니 iteration 때마다 sum을 할 필요 없이, sum 값을 저장해 둔 채로 append/pop 시에 해당 값을 변경해주기만 하면 되더라. 해결 !

 


꾸준히 풀려고는 하지만 안풀리는 문제는 정말 어떡하냐구 .,,

순위 검색이랑 후보키 문제를 푸는데 효율성에 524382 번 걸리는 마당에

3일씩 붙잡고 푸는데 진짜 너무너무너무너무 질려서

일주일은 일만 하면서 문풀은 쉬어버렸지 모에요 ...

 

효율이 안될 땐 구글링의 힘을 조금씩은 빌려봐야겠어요 

아무래도 나는 초보니까 !

 

댓글